바로가기 메뉴
메인메뉴 바로가기
로그인 바로가기
문서 자료실 바로가기

바른소리쓴소리

바른소리쓴소리

균등한 기회가 보장되는 사회, 열심히 일한만큼 정당한 보상이 주어지는 사회,
우리가 추구하는 “바른사회”입니다.

오늘은 夏至-節氣가 무의미해지는 세상

이석구 *바른사회운동연합 자문위원 *전 언론인

오늘은 夏至-節氣가 무의미해지는 세상

 

 오늘(6월21일)은 하지(夏至)다. 일년 24절기(節氣) 중 열 번째에 해당하는 절기다. 24절기 중 망종(芒種)과 소서(小暑) 사이에 들며, 음력으로는 5월, 양력으로는 대개 6월 22일 무렵이다. 이 무렵 태양은 황도(경도:지구 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축 중에서 세로로 된 것)상에서 가장 북쪽에 위치하는데, 그 위치를 하지점(夏至點)이라 한다.

 

 북반구에서는 하지에 낮의 길이가 가장 길다. 남반구에서는 이와 반대로 낮의 길이가 가장 짧다. 정오의 태양 높이도 가장 높고, 일사 시간과 일사량도 가장 많은 날이다. 동지(冬至)는 반대로 밤시간이 가장 길다. 동지부터 조금씩 짧아지기 시작한 밤 시간은 하지에 가장 짧아진다. 낮 시간은 일년 중 가장 길어져 14시간 35분이나 된다. 하지에 북반구의 지표면은 태양으로부터 가장 많은 열을 받는다. 이 열이 쌓여서 하지 이후 기온이 상승, 몹시 더워지며 본격적인 여름이 시작된다.

 

 농촌에서 하지는 가을걷이 때와 함께 일년 중 가장 바쁜 시기다. 하지에는 장마와 가뭄 대비를 하는 한편 각종 농사 일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메밀 파종, 누에치기, 감자 마늘 보리 수확 및 건조, 고추 밭매기, 모내기, 그루갈이용 늦 콩 심기, 대마 수확, 병충해 방재 등이 모두 이 시기에 이루어진다.

 

 절기와 관련된 농경사회 풍습이나 속담도 많다. “하지가 지나면 오전에 심은 모와 오후에 심은 모가 다르다”라는 말이 있다. 남부지방에서는 단오를 전후하여 시작된 모심기가 하지 무렵이면 모두 끝난다. 하지가 지나면 모심기가 늦어 지기 때문에 서둘러 모내기를 해야 한다는 데서 유래된 속담이다. 이 때부터 본격적인 장마도 시작된다.

 

 “하짓날은 감자 캐 먹는 날이고 보리 환갑이다”라는 속담도 있다. 하지가 지나면 보리가 마르고 알이 잘 배지 않는 데서 나온 말이다. 또 하지가 지나면 감자 싹이 죽기 때문에 ‘감자 환갑’이라고도 했다. ‘감자 천신(薦新:철 따라 새로 난 과실이나 농산물을 신께 올리는 것)’이란 말도 있다. 그래서 하지에는 감자를 캐서 전을 부쳐 먹는 풍습도 생겼다.

 

 절기는 밤과 낮의 길이가 같아지는 춘분(3월21일 경)을 기준으로 나눴다. 경도를 동쪽으로 15도 간격으로 24개로 나눠 24절기의 이름을 각각 붙인 것이다. 절기는 태양의 움직임을 기준으로 정해진 때문에 절기의 양력 날짜는 거의 일정하다. 따라서 달의 움직임을 기준으로 하는 음력으로는 절기 날짜가 왔다 갔다 한다. 

 

 24절기는 중국 주(周 )왕조 때 화베이(華北)의 기후에 맞춰 만든 것이다. 따라서 위도가 다른 한국의 기후와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는다. ‘대한(大寒)이 소한(小寒) 집에 놀러 왔다가 얼어 죽었다’,‘추운 소한은 있어도 추운 대한은 없다’라는 말도 이 같은 기후 차 때문에 생긴 속담이다. 문자 그대로 대한은 소한 보다 추워야 하는데 실제 우리나라에서는 소한이 대한보다 추운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곡우(穀雨)에 비가 오면 풍년이 든다”는 속담처럼 조상들은 절기 때의 날씨로 농점(農占:주로 정월에 그해 농사의 豐凶을 알아보려고 치는 점)을 치기도 했다. 이처럼24절기는 우리의 오랜 주 생업이었던 농경과 직결시켜 각별한 날로 여겨졌다. 절기는 계절을 가늠하는 기준으로 농경에 활용되는가 하면 세시명절이나 그에 버금가는 날로도 의의가 있었다. 동지처럼 큰 세시(歲時: 한 해의 절기나 달, 계절에 따른 때)명절도 있고 입춘(立春)이나 곡우처럼 절일(명절)의 의미를 지니는 날도 있다.

 

 농업은 날씨에 지대한 영향을 받는다. 농업이 주 산업이었던 60년까지만 해도 절기는 대단히 중요했다. 그러나 농림축산업은 이제 우리 국내 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겨우 1.8%에 불과하다. 농촌에 가면 젊은 사람들을 찾아보기 힘들다.  농자천하지대본(農者天下之大本)이란 말은 아득한 옛말이 됐다. 이런 절기를 아는 사람도 드물고, 관심도 사라지고 있다. 절기를 말하고, 의미를 부여하는 사람은 꼰대와 동의어가 됐다. 온고이지신 (溫故而知新: 옛 것을 익히고 그것을 미루어서 새것을 앎)이 헛소리처럼 들리는 세상이 됐다.


등록일 : 2022-06-21 15:49     조회: 539
Copyright ⓒ 바른사회운동연합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