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메인메뉴 바로가기
로그인 바로가기
문서 자료실 바로가기

주요활동

교육개혁운동

균등한 기회가 보장되는 사회, 열심히 일한만큼 정당한 보상이 주어지는 사회,
우리가 추구하는 “바른사회”입니다.

[서울경제] [사설] 'AI시대 획일화 교육 판친다'는 원로들의 쓴소리

바른사회운동연합

현행 교육제도가 정치적 이념에 휘말려 획일화·평준화에 매몰돼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바른사회운동연합이 26일 미래 교육방향을 주제로 마련한 토론회에서 교육·경제계 인사들은 “교육감과 장관이 평준화만 외칠 뿐 학생역량을 키우는 데 관심이 없다”면서 사교육 없애기에 매달리느라 오히려 공교육이 죽어버린 현실에 대한 우려를 쏟아냈다.
 
윤증현 전 기획재정부 장관 등 각계 원로들이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우리 교육의 환골탈태를 촉구한 것은 귀 기울일 만하다. 참석자들은 “세계적인 교육 대전환 시기에 한국 교육정책은 우왕좌왕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획일적 평등화에 집착한 나머지 교육수준을 강제로 하향 평준화한 정책이야말로 글로벌 추세에 역행한다는 것이다. 이주호 전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은 “4차 산업혁명 시대로 접어들수록 교육 주체들이 스스로 (성장)모델을 디자인하는 쪽으로 가야 한다”면서 “대량생산 방식, 강의식 교육모델은 폐기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투명하고 공정한 경쟁과 자율을 중시함으로써 서당식 암기교육에서 벗어나 창의성을 키우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얘기다.
 
이런 가운데 과학기술계가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개편에 대해 ‘이공계 사망선고’라며 반발하고 나선 것은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학계에서는 수학·과학 출제 범위를 축소하려는 것은 기초학문을 중시하는 선진국의 흐름과 거꾸로 가는 것이라며 이를 철회해야 한다고 호소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선진국들이 막대한 예산을 들여 수월성과 다양성 교육에 심혈을 기울이는 마당에 우리만 하향 평준화를 고집한다면 미래를 장담하기 어려울 것이다.

인공지능(AI)과 로봇 등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교육혁명을 서둘러야 한다는 원로들의 고언은 울림이 크다. 교사 양성과정을 근본적으로 바꾸고 일선 학교에 과감한 자율성을 부여해야 한다는 주문도 마찬가지다. 이제는 낡은 평준화 프레임에서 벗어나 미래사회에 걸맞은 창의 융합형 인재를 어떻게 키워나갈지 진지한 고민이 필요한 때다.

 
[출처 : 서울경제]
http://www.sedaily.com/NewsView/1S29ULF5MB
등록일 : 2018-08-02 17:17     조회: 1223
Copyright ⓒ 바른사회운동연합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