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메인메뉴 바로가기
로그인 바로가기
문서 자료실 바로가기

바른소리쓴소리

바른소리쓴소리

균등한 기회가 보장되는 사회, 열심히 일한만큼 정당한 보상이 주어지는 사회,
우리가 추구하는 “바른사회”입니다.

"잊히고 싶다"던 文, '과다 노출'.. 사법 방탄·친문 권력 재창출 노려

허민 *(現)문화일보 대기자/ 전임기자

"잊히고 싶다"던 文, '과다 노출'.. 사법 방탄·친문 권력 재창출 노려

 

(2022.08.23.문화일보게재)
 
 
■ 허민의 정치카페 - 문재인 ‘퇴임 후 정치’
 
 
 
 

1.jpg

 

22.jpg

 
 문재인 전 대통령의 ‘자기 노출’이 멈추지 않는다. “퇴임 후 잊히고 싶다”던 그였지만 ‘폭풍 SNS’에 몰입하고, 전·현직 의원 등 정치인들의 방문도 꾸준히 이어진다. 문 전 대통령은 지금 ‘퇴임 후 정치’에 몰두 중이다.
 
 문 전 대통령의 노출은 자신의 집권 5년 기간을 견고하게 지탱해준 친문 팬덤 지지층을 향해 있다. 시기적으로는 윤석열 정부의 집권 초 반부패 전방위 사정 및 여야의 주류세력 교체 시점과 맞물려 있다. 이는 그의 퇴임 후 정치가 한편으로는 자신의 사법 리스크에 대비한 방탄 전략이자 궁극적으로는 친문 권력의 부활을 노린 고도의 정치 행위란 것을 말해준다.
 
◇자기 노출
 
 문 전 대통령은 임기 말에 여러 번에 걸쳐 “잊힌 사람으로 돌아가고 싶다” “퇴임 후 정치에 일절 관여하지 않겠다”는 말을 반복적으로 했었다. 하지만 막상 그의 손가락은 쉬지 않는다. 트위터, 페이스북, 심지어는 1020이 주 고객인 인스타그램을 오가며 ‘폭풍 SNS’를 하는 중이다.
 
 그가 현직에서 물러난 후 100일간, 5월 10일에서 8월 17일까지 3개 SNS 계정에 올린 게시물은 인스타 20개, 페북 26개, 트위터 33개 등 79개나 된다. 낙향 후 보름 남짓 이삿짐 정리와 휴식 기간을 가졌던 점을 감안하면 평균 하루 한 번씩 SNS 계정에 글과 사진을 올린 셈이다. 역대 대통령 가운데서는 물론, 70세에 이른 연령층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왕성한 활동량이다.
 
 미국의 비평가 겸 작가 웬디 레서는 “글쓰기의 결정적 기술은 글쓴이가 자기 노출을 절묘하게 통제하는 데 있다”고 말했다. 자기 검열 없는 노출은 정상적 ‘소통’을 넘어 병적 ‘과시’가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정치권에서도 SNS의 영향력과 공적 기능이 커지는 추세에서 전직 대통령의 자기 노출은 그 자체로 정치 행위라는 말이 나온다. 그것이 과다 노출이라면 병적인 정치 행위다.
 
 문 전 대통령의 사저에는 오종식 전 기획비서관, 신혜현 전 부대변인, 박성우 전 연설비서실 행정관 등 청와대 시절부터 함께 해온 메시지·공보팀이 합류했다. 이들이 평산마을 비서팀을 꾸려 보스의 왕성한 손놀림을 돕는 중이다.
 
 문의 퇴임 후 정치를 빛내주는 또 하나의 요소는 정치인들의 줄 방문이다. 문 정부 시절 함께 했던 청와대 인사들, 더불어민주당 소속 전·현직 의원과 당직자들이 앞다퉈 사저를 방문해 인증샷을 올리고 있다. 2024년 총선을 앞두고는 더 많은 정치인이 양산에 내려가고 문 전 대통령의 메신저임을 자처할 것으로 예상된다.
 
◇사법 방탄
 
 문 전 대통령이 맹렬하게 퇴임 후 정치와 사저 정치에 몰두하는 첫 번째 목적은 두말할 나위 없이 사법 리스크 회피에 있다.
 
 문재인 정부와 청와대는 집권 시절부터 ‘청와대 울산시장 하명 수사’ ‘산업부 블랙 리스트’ ‘서해 공무원 피살’ 등 정치·경제·안보 영역을 망라해 숱한 불법 비리·부패 의혹을 받아 왔다. 당시 여당인 민주당은 문 대통령의 임기 말이 다가오자 새 정권의 전 정권 수사를 막기 위해 민형배 의원 위장 탈당, 국회 법사위원 편법 사보임 등 위법·불법적 요소로 가득 찬 검수완박(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 입법을 강행했다.
 
 전 정권을 겨냥한 반부패 사정은 실제 상황이 되는 형국이다. 검찰은 최근 ‘월성원전 경제성 조작’과 ‘귀순 어민 강제 북송’ 사건과 관련해 세종시에 있는 대통령기록관을 압수 수색했다. 두 사건 모두 당시 청와대를 넘어 문 전 대통령을 겨냥하는 성격이 큰 만큼 전 정권 핵심을 향한 검찰 수사가 본격화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문 전 대통령의 사법 리스크 회피 행태는 본능적인 것일 수도 있다. 집권 당시 전 대통령 세력은 물론 전전 대통령 세력까지 겨냥해 적폐청산의 칼을 휘둘렀던 과정을 누구보다 잘 아는 상황에서 나타나는 자기방어 심리라는 것이다.
 
 정중규 정치평론가는 페북 글을 통해 “잊히겠다던 사람이 SNS 활동에 적극 나선 건 재임 기간 (자행된) 각종 권력형 비리에 대한 사정의 칼날이 본인을 향하고 있음을 동물적 본능으로 직감했기 때문”이라고 해석했다. 지지자를 결집해 운명의 그날을 대비해 생사를 건 공중전을 치르려 준비하는 것이라는 분석이다.
 
◇권력 재창출
 
 친문 세력의 권력투쟁 욕구는 천부적이다. 이들은 스스로 김대중-노무현-문재인으로 이어지는 대한민국 진보 정치의 정통 계보를 잇는 유일 세력이라고 생각한다. 열광적인 친문 팬덤에 포위된 문 전 대통령이 퇴임 후 정치를 벌이는 두 번째 목적은 결국 친문 기득권의 확대 재생산과 그 종착지로서의 권력 재창출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현재 국민의힘은 윤 대통령 집권과 더불어 여당을 친윤(친윤석열) 중심으로 구조조정 중이고, 야당인 민주당은 이달 말 전당대회를 계기로 당의 중심이 친문(친문재인)에서 친명(친이재명)으로 급속히 재편 중이다. 여야가 모두 주류세력 교체를 겪는다는 건 친문 세력이 권력 재창출을 위해 두 개의 권력을 넘어야 한다는 걸 말한다. 하나는 윤석열 정부라는 현재의 권력, 또 하나는 차기 당·대권에 바짝 다가선 이재명 중심의 미래 권력.
 
 문 전 대통령은 퇴임 때 “내가 다시 한 번 대통령 할까요”라고 능청스럽게 말했다. 농담으로 치부됐지만 속마음을 털어놓은 것이라는 해석도 있다. 김형준 명지대 교수는 “권력투쟁에 능한 친문은 이재명 의원이 당 대표가 된 이후 사법 리스크로 몰락할 때를 기다려 문 전 대통령을 앞세워 친문 권력 재창출을 꾀할 가능성이 있다”고 관측했다.
 
 여야 정치권에서도 문 전 대통령의 왕성한 자기 노출을 권력 의지와 연결짓지 않으면 설명할 수 없다는 평가가 나온다. 사실 전직 대통령이 휴가 간다며 물놀이하는 사진과 일정까지 SNS에 올리는 경우는 없었다. 수도권 출신의 민주당의 원로 정치인은 “퇴임 후 낙향한 전임 대통령이 잊힌 삶을 살겠다고 했지만, 실은 후일을 내다보고 강력한 사저 정치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노출된 잊힘
 
 전직 대통령이 자기를 세상에 부단히 노출하면서 동시에 ‘잊힌 삶’을 살겠다고 하는 게 가능한 일일까. 그건 벌거벗고 도심 한가운데서 시위하면서 ‘잊어달라’고 주장하는 것과 다름없다.
 
 전직 대통령의 노출은 정치적이다. 열광적인 팬덤을 갖는 경우라면 더욱 그렇다. 문 전 대통령이 이를 모를 리 없다. 문 전 대통령은 지금 지지층을 향해 자신을 사법 리스크로부터 지켜달라고, 친문의 영광을 재현하는 일에 동참해달라고 끊임없이 호소하는 중이다.
 
 
■ 세줄 요약
 
자기 노출 : 문재인 전 대통령이 왕성한 ‘자기 노출’ 중. ‘폭풍 SNS’를 하거나 정치인들의 줄 방문을 받는 등 ‘퇴임 후 정치’를 하는 것. 하지만 자기 검열 없는 과다 노출은 정상적 ‘소통’을 넘어 병적 ‘과시’가 될 수 있음.
 
사법 방탄 : 문이 사저 정치에 몰두하는 첫 번째 목적은 사법 리스크 회피. 현재 윤석열 정부의 반부패 사정이 시작됨. 재임 시 전직 대통령들에게 적폐청산의 칼을 휘두른 문의 퇴임 후 사법 리스크 회피는 본능적인 것.
 
권력 재창출 : 여야가 모두 주류세력 교체 중임. 문이 퇴임 후 정치를 벌이는 두 번째 목적은 친문 기득권의 확대 재생산과 권력 재창출임. 전직 대통령이 자기를 부단히 노출하면서 ‘잊힌 삶’을 살겠다는 건 불가능함.
 
 
■ 용어 설명
 
‘자기 노출’(self-disclosure)은 개인의 신상에 관한 감정·생각 등을 타인에게 전달하는 일종의 커뮤니케이션. 심할 경우 자기과시(self-display)나 자기현시 같은 병적 증상이 될 수 있음.
 
‘웬디 레서’(Wendy Lesser)는 미국의 비평가 겸 작가이며 예술 분야 저널 ‘The Threepenny Review’의 창립 편집자. 절제된 문체로 건축가 루이스 칸의 전기를 써 ‘마필드 상’을 수상.

 

등록일 : 2022-08-23 16:31     조회: 534
Copyright ⓒ 바른사회운동연합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TOP